IP 주소
1. 1. 1. 1
00000001.00000001.00000001.00000001
<----------- Network ID -----------><- Host ID ->
네트워크 개수 네트워크 규모
Network ID: 네트워크를 식별 → 네트워크의 갯수를 결정
Host ID: 호스트를 식별 → 네트워크의 규모를 결정(서버를 두기 위해 알아야 함)
8bit, 2^8=256공간, 256-2=254
2 빼는 이유: 네트워크 주소, 브로드캐스트 주소 사용으로 인해 호스트 주소에서 제외
Host: IP를 받을 수 있는 장비
↔ Guest: IP를 받을 수 없는 장비
CIDR(Classless Inter-Domain Routing)
서브넷팅: 네트워크를 여러개의 서브넷으로 나누는 행위, 여러개의 네트워크가 필요한 경우 실행
온전한 classful 비효율적 → 서브넷팅 → classless
낭비되는 IP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
↔ classful
- 서브넷팅(Subnetting)
네트워크를 균등하게 나눔
네트워크 규모 × 네트워크 개수 = 원래 네트워크
방법1) 그리면서 하는 방식
1. 나에게 주어진 네트워크를 그리고, 규모를 표시한 후, 첫번째 주소와 마지막 주소를 표시한다.
2. 네트워크를 나눈다.
3. 나눈 네트워크의 첫번째와 마지막 주소를 적는다.
4. 각 네트워크의 대표(첫번째) 주소를 적어준다.
5. 네트워크의 규모에 맞는 서브넷 마스크(prefix)를 각 네트워크의 대표 주소에 적어준다.
- 균등하게 나눈 네트워크들의 규모는 당연히 동일할 수 밖에 없음(prefix, 서브넷 마스크 다 동일)
방법2) 비트의 이동
1. 두개의 네트워크로 나눈다 = 네트워크의 갯수를 늘리는데 1비트를 더 할애한다.
2. 네트워크의 갯수를 늘리는데 1비트를 더 할애하면, 각 네트워크의 규모는 1비트만큼 줄어든다.
# 192.168.2.0 /24 네트워크가 주어졌다.
위 네트워크를 4개의 균등하고 제일 큰 네트워크로 서브넷팅 후 각 네트워크의 대표주소와 프리픽스를 구하시오.
192.168.2.0 /26
192.168.2.64 /26
192.168.2.128 /26
192.168.2.192 /26
풀이1) 4개의 네트워크로 나누기
192.168.2.0
4 = 2^2 → 11000000 → 서브넷 마스크: 192(128+64)
prefix: 24 + 2 = 26
256/4 = 64 = 2^6 don't care 부분
.00 → 192.168.2.0 /26 ~ 192.168.2.63
.01 → 192.168.2.64 /26 ~ 192.168.2.127
.10 → 192.168.2.128 /26 ~ 192.168.2.191
.11 → 192.168.2.192 /26 ~ 192.168.2.255
풀이2) 비트의 이동
나에게 주어진 비트 = 8비트
네트워크의 갯수를 늘리는데 사용해야하는 비트 = 2비트
네트워크 규모 = 6비트
256 - 규모(6비트=64) = 서브넷마스크(192)
서브넷마스크 = 192
255.255.255.192
한 옥텟에서 서브넷팅 결과를 검산하는 방법
: 256 - 서브넷 마스크 = 네트워크 규모
# prefix가 25인 경우
2^8 = 128, 256 - 128 = 128
classful 네트워크
A class: Net ID 8bit (prefix = 8), Host ID 24bit
맨앞비트가 0으로 고정
0_______._________._________.________
네트워크 개수 0 ~ 127(01111111): 2^7=128개
네트워크 규모 2^24
B class: Net ID 16bit (prefix = 16), Host ID 16bit
맨앞비트가 10으로 고정
10______._________._________.________
네트워크 개수 128(10000000).0.0.0 ~ 191(10111111).255: 2^14개
네트워크 규모 2^16
C class: Net ID 24bit (prefix = 24), Host ID 8bit
맨앞비트가 110으로 고정
110_____._________._________.________
네트워크 개수 192(10000000).0.0.0 ~ 223(11011111).255: 2^21개
네트워크 규모 2^8
D class
E class
# 192.168.0.0 /22는 클래스풀한가?
prefix(Net ID, 고정된 부분)이 24가 아니므로 아님
# 192.168.0.0 /22는 C 클래스에 속하는가?
범위가 c 클래스에 속하긴 함
각 클래스별 사설네트워크
A클래스 10.0.0.0 ~ 10.255.255.255
→ 10.0.0.0 /8
B클래스 172.16.0.0 ~ 172.31.255.255
→ 172.16.0.0 /12
C클래스 192.168.0.0 ~ 192.168.255.255
→ 192.168.0.0 /16
사설 네트워크(Private Network)
IP 부족으로 인해 생긴 개념
사설 IP를 제외한 IP는 공인 IP로 봐도 무방하다.
내부(private network를 사용하는 공간): 사설 네트워크 → 192.168.0.0
나갈때 관문: default gateway(내가 속해있는 네트워크와 같은 대역대의 IP여야 함) → 192.168.0.1
공유기
나오자마자: 공인 IP
외부(public network(public IP)를 사용하는 공간) : 118.218.200.33
서브넷 마스크
네트워크의 규모를 결정, 어디까지 Network ID를 고정하는데 쓰였는지 확인 가능
서브넷 마스크에서 1은 항상 연속되어야 하고, 0 다음에 1이 올 수 없음
서브넷 마스크의 다른 표현: prefix
255. 255. 255. 0
서브넷 마스크 11111111.11111111.11111111.00000000
IPv4 주소 192. 168. 0. 94
<--------- Network ID ---------><- Host ID ->
호스트 범위: 192.168.0.0 ~ 192.168.0.255
-2: 맨처음(0), 맨마지막(255) 못씀
→ 호스트 수: 256-2=254
나에게 192.168.2.0 /24 네트워크가 주어졌다.
위 네트워크를 4개의 균등하고 제일 큰 네트워크로 서브넷팅 하시오.
각 네트워크의 대표주소와 프리픽스를 구하시면 됩니다.
ex. 4강의실 네트워크
네트워크의 첫번째 주소 = 대표 주소 = 네트워크 주소: 192.168.0.0
서브넷 마스크: 255.255.255.0
#1
IPv4 주소: 192. 168. 0. 94
255. 255. 255. 0
서브넷 마스크1: 11111111.11111111.11111111.00000000
<--------- Network ID ---------><- Host ID ->
네트워크 규모: 2^8
대표 주소: 192. 168. 0. 0
1의 범위: 192.168.0.0 ~ 192.168.0.255
prefix: 24(8*3) → 192.168.0.0 /24
#2
IPv4 주소: 192. 168. 0. 94
255. 255. 252. 0
서브넷 마스크2: 11111111.11111111.11111100.00000000
<--------- Network ID ---------><- Host ID ->
네트워크 규모: 2^10
대표 주소: 192. 168. 0. 0
2의 범위: 192.168.0.0 ~ 192.168.3.255
(2bit → 00, 01, 10, 11 → 0 ~ 3)
prefix: 22 → 192.168.0.0 /22
192.168.1.1/24
: Net ID가 192.168.1까지임을 알 수 있다.
호스트가 0이 아니므로 대표 주소(.00000000)가 아님을 알 수 있다.
브로드캐스트 주소(.11111111)는 마지막 주소이다.
호스트에게 부여할 수 있는 IP 수: 호스트 주소에서 대표 주소, 브로드캐스트 주소 2개를 뺌
대표 주소: 호스트 ID가 전부 0(처음)
브로드캐스트 주소: 호스트 ID가 전부 1(끝)
네트워크 공간을 나누는 경우: 사용하지 못하는 주소가 늘어난다.
네트워크 공간을 합치는 경우: 사용하지 못하는 주소가 줄어든다.
Cisco Packet Tracer
# 시스코 패킷트레이서 - 네트워크 시뮬레이터( ↔ 에뮬레이터)
같은 스위치(2계층)에 연결됐다 = 같은 네트워크다
- 스위치끼리는 같은 네트워크
- 라우터는 네트워크를 구분
Router CLI(Command Line Interface)
라우터에 콘솔케이블로 연결된 상태
Router> // 사용자 모드
Router>en
Router#> // 관리자 모드
Router#conf t
Enter configuration
Router(config) # // 전역설정모드
# 전역설정모드 = 내가 치는 명령어가 장비(라우터) 전체영역에 영향을 끼침.
# 항상 인터페이스(포트)의 레이블 확인. 네트워크장비에서 포트는 (랜선을 꼽는) 인터페이스를 뜻한다.
# ip에 관련된 설정, add(주소)를 설정
# Ctrl + Insert (복사) , Shift + Insert (붙여넣기)
Router(config-if) #no ip add <인터페이스에 입력하고 싶은IP > <서브넷 마스크>
# 인터페이스(이더넷포트)에 설정된 ip 주소를 삭제.
Router(config-if) #no shut
# 아이피를 설정하고 난 후에는 반드시 해당 인터페이스를 동작시켜줘야 한다.
# 셧다운을 하지 않겠다 = 동작시키겠다.
Router(config-if) #do sh run
# 내가 설정한 값을 보여줘, 전역설정모드 이상에서는 앞에 항상 do를 붙인다
# 아이피 설정 및 no shut 명령을 통해 라우터의 f0/0번 포트가 잘 동작하는걸 확인 가능.
라우터는 네트워크를 구분하는 기능이 있다.
# 이 토폴로지는 총 두개의 네트워크로 구성되어있고, 라우터가 네트워크를 나누는(구분하는) 기능이 있기 때문에 라우터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(대역대의 IP) 네트워크를 구성한다.
# 두개의 네트워크가 서로 다른 대역을 가져야 하는 이유.
Router(config-if)#no ip add
Router(config-if)#ip add 192.168.2.250 255.255.255.0
Router(config-if)#no shut
Router(config-if)#do sh run
# 최종적으로 각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pc끼리 통신이 되는지도 확인.
'AWS Cloud School 8기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일차) 2025-01-03 (DHCP, PAT/DNAT, VLAN/스위치 설정) (0) | 2025.01.03 |
---|---|
5일차) 2025-01-02 (DHCP, PAT/DNAT) (1) | 2025.01.02 |
4일차) 2024-12-31 (동적 라우팅_OSPF) (1) | 2024.12.31 |
3일차) 2024-12-30 (Routing) (0) | 2024.12.30 |
1일차) 2024-12-26 (OSI 7계층) (0) | 2024.12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