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제1)
10.20.30.0 /24 가 나에게 주어졌다.
나는 현재 pc가 31대가 있으며, 이 pc들을 하나의 네트워크에 모두 설치하고 싶다. 최적의 네트워크를 구해서
각 네트워크의 대표주소, 서브넷마스크, 가용 ip 범위, 각 네트워크의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구하시오.
31대의 PC + 1(네트워크 주소) + 1(브로드캐스트 주소) = 33개의 IP 필요
prefix = 32 - 6 = 26
33 < 2^6=64
호스트 IP: 64 - 2(네트워크 주소, 브로드캐스트 주소) = 62개
- 대표 주소(네트워크 주소): 10.20.30.0 /26
- 서브넷 마스크: 255.255.255.192
- 가용 IP 범위: 10.20.30.1 ~ 10.20.30.62
- 브로드캐스트 주소: 10.20.30.63
문제2)
203.10.24.27 주소를 갖는 호스트의 서브넷 마스크는 255.255.255.240이다. 이때 이 네트워크의 호스트 범위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는?
- 네트워크 주소: 203.10.24.16 /28
- 호스트 범위: 203.10.24.17 ~ 203.10.24.30
- 브로드캐스트 주소: 203.10.24.31
문제3)
VLSM
문제4)
1. client는 동일대역에 있는 dhcp server로 부터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부여받는다.
제출내용 - dhcp.conf 파일의 설정내역 및 아이피를 부여받은 client의 ifconfig 명령어 출력값
2. 웹서버는 내부 및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며 화면에 I love teacher 혹은 I hate teacher라는 문장중에 하나를 출력한다. 브라우저로 접속할때 7979포트로 접속시 보너스 점수
제출내용 - client에서 웹서버 접속테스트, 브라우저에서 접속 테스트 한 스샷
R1 설정
R1#conf t
R1(config-if)#ip add 172.16.5.250 255.255.255.0
R1(config-if)#no sh
R1(config-if)#int f0/1
R1(config-if)#ip add 172.16.7.10 255.255.255.0
R1(config-if)#no sh
R1 라우팅
R1(config-if)#ip route 0.0.0.0 0.0.0.0 172.16.7.20
# 디폴트 라우팅
R2 설정
R2#conf t
R2(config)#int f0/0
R2(config-if)#ip add 172.16.6.250 255.255.255.0
R2(config-if)#no sh
R2(config-if)#int f0/1
R2(config-if)#ip add 172.16.7.20 255.255.255.0
R2(config-if)#no sh
R2(config-if)#int f1/0
R2(config-if)#ip add 211.183.3.50 255.255.255.0
R2(config-if)#no sh
R2 라우팅
R2(config-if)#ip route 0.0.0.0 0.0.0.0 211.183.3.2
R2(config)#ip route 172.16.5.0 255.255.255.0 172.16.7.10
R2 PAT
R2(config)#access-list 1 per 172.16.4.0 0.0.3.255
# vmnet5, 6과 R1-R2 사이의 대역을 전부 포함하는 액세스 리스트를 하나 만듦
R2(config)#int f0/1
R2(config-if)#ip nat in
R2(config-if)#int f0/0
R2(config-if)#ip nat in
R2(config-if)#int f1/0
R2(config-if)#ip nat out
R2(config-if)#ip nat inside source list 1 int f1/0 over
DHCP 서버 설정
[root@vm ~]# systemctl disable --now firewalld
아래 링크 참고
- 셀리눅스 off
- 레포 추가
https://eitherwho.tistory.com/29
10일차) 2025-01-09 (centos7 VM 초기 설정)
초기 셋팅앞으로 centos7 VM을 설정하면 이렇게 3개의 초기 셋팅하기!1. 방화벽 off[root@web ~]# systemctl stop firewalld [root@web ~]# systemctl disable firewalld2. 셀리눅스 off셀리눅스가 활성화 되어있으면, 나중에
eitherwho.tistory.com
DHCP 서버 IP 설정
[root@vm ~]# init 6
# 재시작
[root@vm ~]# yum -y install dhcp
[root@vm ~]# vi /etc/dhcp/dhcpd.conf
# dhcpd.conf 파일 내용 수정
subnet 172.16.5.0 netmask 255.255.255.0 {
# 서브넷(풀) 정의. 부여받는 client입장을 고려.
range 172.16.5.200 172.16.5.249;
# IP 할당 범위
option routers 172.16.5.250;
# client의 GW
option domain-name-servers 8.8.8.8;
# DNS 서버 지정
default-lease-time 600;
# IP 대여 시간 600초
}
[root@vm ~]# systemctl restart dhcpd
# 서버 한 대를 vmnet5 대역에 두고 네트워크 설정을 dhcp로 둔다음 똑딱이를 껐다 켜면 IP를 잘 받아오는걸 확인 가능
웹서버 설정
[root@vm ~]# vi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ns32
[root@vm ~]# yum -y install httpd
[root@vm ~]# systemctl restart httpd
[root@vm ~]# systemctl enable httpd
# index.html에 내용 추가
[root@vm ~]# echo 'i hate teacher' > /var/www/html/index.html
실제 외부(vmnet8)에서 접근 가능하려면 DNAT를 해줘야 한다.
211.183.3.50 으로 접근가능
R2 DNAT
R2(config)#ip nat inside source static tcp 172.16.6.80 80 211.183.3.50 7979
'AWS Cloud School 8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1일차) 2025-01-10 (시험) (0) | 2025.01.10 |
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