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entOS-7-x86_64-Minimal-2009 사용

실습)
vmnet3을 192.168.3.0 /24 대역으로 구성후 노트북에서 접근 가능한 대역으로 만드세요.
vmnet3에 해당 대역의 4번째 옥텟의 주소가 .10인 centos7 서버를 한대 만들고 xshell로 접속해보세요.
10.10.1.0 /24 vmnet1: 폐쇄, 가상 네트워크
10.10.2.0 /24 vmnet2
10.10.3.0 /24 vmnet3
10.10.4.0 /24 vmnet4

서버의 스펙: 2core, 2GB, 20GB
호스트네임 : rapa

# virtual network editor에서 vmnet3 생성 후 확인
# 절대 GW는 아님!!!

rapa host에 GW 설정 안한다면

# GW: 0.0.0.0


 

Rocky-9.5-x86_64-minimal 사용

# dnf나 yum이나 사실상 동일
# 설치가 안될때 확인할 사항
# 동작 안하고 있음
# 동작
# 웹페이지를 잘 보여주는걸 확인 가능
# Host-Connection에 의해 해당서버로 접근 가능하지만 접속 불가

#  접속 불가능 이유

→ 80번 포트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, 매칭이 되어야 하는데,

방화벽이 활성화 되어있기 때문에 서버의 포트를 차단하고 있다.

# 방화벽 때문
# 서버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한걸 확인 가능

# 항상 기능적으로 문제가 없는지(curl)와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지(방화벽)를 확인해야 한다.

실습)
web-rocky가 web 클라이언트다.
여러분들이 서버를 하나 더 추가 하여,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웹서버를 구성해보세요.
# 이렇게 쳤을때 html 페이지가 보이도록 해보세요.




실습)
VM 이름: srv1
CPU: 2core, RAM: 2GB, Storage: 20GB
IP: 10.10.2.10 /24

VM 이름 : srv2
CPU: 2core, RAM: 2GB, Storage: 20GB
IP: 10.10.2.20 /24

처음에 설치할때 network 설정하지 말고 설치 후에 하세요.
위 두개의 VM을 설치하고 srv1과 srv2가 서로 통신되는지 확인
GW주소는 10.10.2.1 및 서버IP를 제외한 아이피를 넣으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