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1주차 - 네트워크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2025.08.08
1주차 - 네트워크 질문
1. OSI 7계층 / TCP/IP 모델 OSI 7계층 각각의 역할을 설명해보세요.TCP와 UDP의 차이점은?TCP가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식은?더보기3-way Handshake로 연결 설정순서 번호로 순서 보장ACK 응답 및 재전송흐름 제어, 혼잡 제어 기능 포함TCP/IP 4계층 모델은 무엇이며, OSI 7계층과 어떻게 매핑되나요? 2. IP / 서브넷팅 / CIDR / 슈퍼넷팅 사설 IP와 공인 IP의 차이점은?CIDR이 무엇이고, 서브넷팅과의 관계는? 서브넷팅을 하는 이유는?더보기- 클래스풀 네트워크와 클래스리스 네트워크의 차이는?- 클래스 A, B, C IP 주소 대역과 각각의 프리픽스는 어떻게 되나요?- 슈퍼넷팅을 하는 이유는? 3. ARP / RARP / DNS / DHCP DN..
2025.08.07
no image
1주차 - 네트워크
네트워크OSI(Open - Systems Interconnection) 7 layer개방된 시스템간의 상호작용OSI 7 계층 OSI 7계층 설명프로토콜전송단위장비7. 응용 (Application)- 사용자와 네트워크 간 응용서비스 연결, 데이터 생성- HTTP- FTP데이터호스트(PC 등)6. 표현 (Presentation)- 데이터 형식 설정, 부효교환, 암복호화, 압축- JPEG- MPEG5. 세션 (Session)- 송수신 간의 논리적인 연결- 연결 접속, 동기제어- RPC- NetBIOS4. 전송 (Transport)- 송수신 프로세스 간의 연결- 신뢰성 있는 통신 보장- 데이터 분할, 재조립, 흐름 제어, 오류 제어, 혼잡 제어- TCP- UDP세그먼트L4 스위치3. 네트워크 (Network)-..
2025.08.06
90~140일차) 2025-05-09 ~ 2025-07-11 [4. 최종 프로젝트]
프로젝트 개요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운영되는 모놀리식 시스템(기업 고객 대상)의 AWS 마이그레이션을 자동화하는 플랫폼 설계 및 구현고객의 Infra, DB, App 정보 입력을 기반으로, Terraform 코드 자동생성과 마이그레이션 실행 전 과정을 자동화추가적으로 MSA 구조 전환 리포트까지 제공하여, 실무에서 요구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까지 지원아키텍처 및 주요 기능프론트엔드: React 기반 웹 서비스 (사용자 입력, 결과 레포트 제공)백엔드: Django REST API 서버, AWS Lambda (Bedrock 연동), Step Function 오케스트레이션Infra as Code: Terraform으로 AWS 리소스(VPC, Subnet, EC2, RDS, S3, IAM 등) 자동 구축보안:..
2025.07.20
Amazon Bedrock Multi-agent Collaboration 워크샵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2025.05.17
no image
93일차) 2025-05-14(테라폼)
테라폼(terraform)IaC(Infrastructure as Code) 도구일반적인 범주 - 앤서블, 테라폼, 베이그란트 등 고유한 언어넓은 범주(선언적, declarative) - k8s 매니패스트, docker-compose, Dockerfile 등= Desired state를 문서로 작성(정의)desired state ↔ statusdesired state = 파드 3개(원하는 상태)status = 파드 3개가 동작 중이다(현재 상황을 묘사)테라폼에서는 'status'가 'tfstate'와 비슷하다tfstate = 현재 상황 + 의존성관계IaC의 장점매번 똑같은 환경을 재현 가능 = 개발자끼리 환경 통일 = 일관성 유지→ dev, stating, production 환경을 동일하게 찍어낼 수 있..
2025.05.14
[4. 최종 팀 프로젝트] - 프로젝트 기획 정리, 하나 뽑자면,,,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2025.05.11
[4. 최종 팀 프로젝트] - 프로젝트 기획, 인프라/서비스 아이디어
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2025.05.11
no image
90일차) 2025-05-09(Jenkins를 통한 CI/CD)
깃허브 액션같은 경우, webhook을 하는데 큰 문제가 없었다.# 하지만 오픈소스 CI 도구인 젠킨스의 경우, 로컬 환경(private network)에 설치하면 내가 네트워크 관리자여서 포트포워딩을 제어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webhook이 불가능하다. 따라서 우리는 클라우드에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jenkins를 구성할 예정이다.EKS가 설치된 VPC의 퍼블릭 서브넷에 Jenkins를 설치- 인스턴스 유형은 최소 small 이상으로 해야한다.root@ip-10-50-10-213:~# apt update -y 레포등록을 위한 키 추가 wget -O /usr/share/keyrings/jenkins-keyring.asc \https://pkg.jenkins.io/debian/jenkins.io-20..
2025.05.09